독수리 날개에서 영감 받은 '호크 팬'
DLSS4의 강력한 퍼포먼스

[디지털포스트(PC사랑)=남지율 기자] 엔비디아는 블랙웰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그래픽카드 라인업인 RTX 50 시리즈를 선보인 바 있다. RTX 50 시리즈는 기존 세대보다 기본적으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지만, 핵심은 AI 기술에 있다. AI 기반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가 DLSS 4로 업그레이드되었는데, RTX 50 시리즈의 런칭 시점부터 다양한 게임이 이를 지원한다.
RTX 50 시리즈에서만 가능한 DLSS 4의 신기능도 있다. ‘멀티 프레임 생성기술(MFG)’은 RTX 50 시리즈 독점 기술이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MFG가 지원되는 게임의 경우 RTX 5070에서도 RTX 4090급 프레임을 구현할 수 있다. 호환되는 게임을 즐길 때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에서 더욱 극대화된 성능을 누릴 수 있게 된 셈이다.
RTX 5070은 현재 RTX 50 시리즈 중 가장 저렴한 가격에 만나볼 수 있어 게이머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다양한 PC 컴포넌트로 PC 마니아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인 기가바이트도 RTX 5070 그래픽카드를 선보였다. 리뷰에서 살펴볼 모델은 ‘기가바이트 지포스 RTX 5070 게이밍 OC D7 12GB 피씨디렉트(GIGABYTE 지포스 RTX 5070 GAMING OC D7 12GB 피씨디렉트)’다.
제원
GPU - 기가바이트 지포스 RTX 5070 게이밍 OC D7 12GB 피씨디렉트
클럭 - 2625MHz(레퍼런스: 2512MHz)
쿠다 코어 - 6,144개
메모리 - GDDR7 12GB
메모리 클럭 - 28000MHz
카드 버스 - PCIe 5.0
최대 해상도 - 7680x4320
최대 디스플레이 지원 - 4
카드 사이즈 - 327x132x56mm
추천 파워 - 750W
I/O - DP 2.1b x3, HDMI 2.1b x1
오버클럭으로 성능 UP

RTX 5070 게이밍 OC는 대부분의 게이밍 PC용 케이스에 적합한 블랙 컬러가 적용됐다. ‘게이밍’이라는 제품명이 무색하지 않게 입체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을 품었다. 팬은 총 3개를 품었는데, 독수리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은 ‘호크 팬’이 새롭게 채택됐다. 이를 통해 소음은 줄어들면서도 쿨링 효율은 더욱 증가한다.

이 그래픽카드에는 화려한 RGB LED가 적용됐다. 그래픽카드 팬에 적용된 ‘RGB 헤일로’ 조명이 무척 화려하며, 그래픽카드 측면의 플레이트도 아름답게 빛난다. 참고로 플레이트는 취향에 따라 좌우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단자는 DP 2.1b 3개, HDMI 2.1b 1개를 갖췄다. RTX 40 시리즈 때와 다르게 DP와 HDMI가 상위 규격을 지원하도록 변화했다. 따라서 최신 게이밍 디스플레이와 우수한 궁합을 발휘한다.
오버클럭 적용 모델인 만큼 일반적인 RTX 5070 그래픽카드보다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레퍼런스 클럭인 2512MHz보다 더 빠른 2625MHz로 작동한다.

이외에도 ‘기가바이트 컨트롤 센터’를 지원해 그래픽카드의 세부적인 설정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
그래픽카드는 절대적인 성능이 중요하지만, 쿨링 성능이 부족하면 활용도가 크게 낮아진다. 쿨링 성능이 부족하면 ‘스로틀링’ 현상으로 인해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기가바이트는 스로틀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그래픽카드에 강력한 쿨링 솔루션을 적용해왔다. RTX 5070 게이밍 OC에도 ‘윈드포스 쿨링 시스템’이 채택되어 장시간 게이밍으로 인한 그래픽카드 발열을 효율적으로 해소한다.
이 그래픽카드는 마주한 팬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더욱 효율적인 냉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팬에 적용된 그래핀 나노 윤활유, 복합 구리 히트 파이프가 만나 뛰어난 쿨링 성능을 자랑한다.

실제 쿨링 성능은 어느 정도일까? ‘사이버펑크 2077’을 통해 실제 냉각 성능을 테스트해 봤다. 옵션은 4K UHD 해상도, 레이트레이싱 울트라에 DLSS 자동이다. 게임 초반부에서 시점을 고정한 뒤 20분 뒤의 온도를 측정했다. 고사양 AAA 게임임에도 GPU의 온도는 58.8도를 기록했다.
실제 성능을 확인해보자
벤치마크 시스템의 사양은 AMD 라이젠 9 7950X, ASUS ROG CROSSHAIR X670E GENE, 게일 DDR5-6000 CL38 폴라리스 RGB 화이트 16GB x2, 커세어 HYDRO SERIES H115i, SK하이닉스 P31 M.2 NVMe SSD 1TB, 마이크로닉스 WIZMAX 1200W 80PLUS플래티넘 풀모듈러 ATX3.1, 윈도우 11 24H2이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벤치마크 결과이다. 파이어 스트라이크의 그래픽 스코어는 57,373점,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의 그래픽 스코어는 29,406점,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의 그래픽 스코어는 14,502점으로 측정되었다.
타임 스파이

3D마크 타임 스파이 벤치마크 결과이다. 타임 스파이의 그래픽 스코어는 22,673점,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의 그래픽 스코어는 10,910점으로 측정되었다.
스틸 노매드

3D마크 스틸 노매드 벤치마크 결과이다. 스틸 노매드의 스코어는 5,055점, 스틸 노매드 라이트의 스코어는 23,039점으로 측정되었다.
포트로얄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측정하는 포트로얄 벤치마크 결과이다. 그래픽 스코어 14,531점을 기록했다.
DLSS UHD

UHD 해상도에서 진행한 결과다. DLSS off 상태에서는 약 31.35FPS, DLSS on 퀄리티 모드에서는 91.88FPS, DLSS on 퍼포먼스 모드에서는 120.9FPS를 기록했다. (DLSS 4, 프레임생성: 2)
오버워치 2


‘오버워치 2’는 매우 높음 옵션에 렌더링 스케일 100% 설정으로 훈련장에서 측정을 진행했다. FHD 환경에서는 최소 487FPS 최대 602FPS 평균 558FPS로 측정됐다. 해상도를 UHD로도 설정했는데 최소 183FPS 최대 272FPS 평균 227FPS로 측정되었다.
사이버펑크 2077


‘사이버펑크 2077’은 레이트레이싱 울트라 옵션에 DLSS 자동으로 인 게임 벤치마크를 진행했다. FHD 해상도의 경우 최소 100.32FPS 최대 133.28FPS 평균 115.83FPS를 기록했다. UHD 해상도에서는 최소 55FPS 최대 69.9FPS 평균 61.07FPS를 기록했다.
마치며
RTX 5070 게이밍 OC를 살펴봤다. DLSS 벤치마크를 통해서도 MFG의 놀라운 프레임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대응 게임이 점차 증가할 예정인 만큼 미래 가치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제품은 피씨디렉트에서 유통하는 제품으로서 구매 및 기술 문의와 같은 사항은 피씨디렉트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